SH 역세권 청년주택에 대해서 찾아보고 계시는가요. 지금 역세권 청년주택 신청을 받고 있습니다.
SH 역세권 신청을 위해서 주요 모집 단지와 신청 자격을 알려드릴 테니 SH 역세권 청년주택을 신청해보시기를 바랍니다.
2023년 4월 12일부터 14일까지 3일간만 신청받으니 아래에서 바로 신청하시기를 바랍니다.
SH 역세권 청년주택
먼저 SH 역세권 청년주택이 무엇인지 개념부터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SH 역세권 청년주택은 무주택 청년이나 신혼부부를 대상으로 안정적인 주거 생활을 위해서 대중교통 이용이 편리한 역세권에 임대주택을 공급하는 것입니다.
제목 그대로 역세권 청년주택이죠.
쉽게 역세권에 청년들에게 주택을 공급한다는 정부의 정책입니다.
SH 역세권 청년주택 신청 유형
어떤 유형으로 SH 역세권 청년주택을 신청할 것인지 유형을 확인해야 합니다.
크게 분류는 청년과 신혼부부가 있습니다.
가장 먼저 청년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청년은 만 19세에서 39세 미만을 의미하고, 직장을 다니고 있거나 학생이거나 무관하게 청년으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신혼부부가 있습니다.
신혼부부도 크게 신혼부부 1유형과 신혼부부 2유형이 있습니다.
신혼부부 1유형은 공고일 기준으로 혼인 기간이 7년 이내거나, 혼인 신고를 예정하고 있는 가구를 포함합니다.
그리고 만 6세 이하의 자녀를 둔 모자 가족 또는 부자가족이 포함하고, 예비 신혼부부와 한부모가족도 포함하니 확인하시기를 바랍니다.
신혼부부2 유형에 포함하는지 위에 표를 통해 확인하시기를 바랍니다.
SH 역세권 청년주택 신청 자격
가장 먼저 SH 역세권 청년주택 신청 자격이 맞아야 합니다.
따라서 SH 역세권 청년주택 신청 자격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SH 역세권 청년주택의 모집공고일은 2023년 3월 31일이며, 해당 일자 기준으로 만 19세에서 39세 이하여야 합니다.
그리고 임대주택 공급이기에 무주택자 및 자동차 미 소유자여야만 합니다.
예외적으로 장애인, 생업용 자동차는 소유할 수 있으며 자동차 가액은 3,683만원 이하여야 하니 참고하시기를 바랍니다.
마지막으로 임대 조건 계층별 소득과 총자산 조건에 맞아야 합니다.
SH 역세권 청년주택 임대 기간
SH 역세권 청년주택의 임대 기간은 2년입니다.
입주 자격이 충족되면 재계약으로 청년은 최대 6년까지, 신혼부부는 최대 10년까지 역세권 청년주택에 거주할 수 있습니다.
SH 역세권 청년주택 모집 단지
그럼 이제 SH 역세권 청년주택 신청을 위해서 모집하는 단지를 알려드리겠습니다.
많은 단지가 있지만 그중에서 많은 사람이 관심을 갖는 좋은 역세권 청년주택 단지를 알려드리겠습니다.
주소 | 호 |
강동구 성내동 87-1 | 총 264호 |
은평구 대조동 241 호반베르디움 스테이원 | 총 252호 |
용산구 한강로 2가 2-350 용산베르디움프렌즈 | 총 22호 |
마포구 서교동 494 효성해링턴 타워 | 총 10호 |
종로구 숭인동 240-1 청계로벤하임 | 총 16호 |
중구 광희동1가 166 | 총 21호 |
동작구 대방동 403-14 골든노블레스 | 총 23호 |
SH 역세권 청년주택 임대료 조건
SH 역세권 청년주택에 거주할 경우 임대료를 얼마나 내야 하는지 궁금하실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임대료 A는 시중 시세의 30%이고, 임대료 B는 시중 시세의 50%, 임대료 C는 시중 시세의 60%, 임대료 D는 시중 시세의 70%입니다.
항목 | 조건 |
임대료 A | 청년 1순위 신혼부부 |
임대료 B | 청년 2순위 청년 3순위 신혼부부 |
임대료 C | 신혼부부 2유형 |
임대료 D | 신혼부부 2유형 |
SH 역세권 청년주택 입주자 선정 우선순위
SH 역세권 청년주택 신청 후 어떻게 당첨되는지 알려 드리겠습니다.
가장 먼저 청약 신청 순위를 구분하고, 이후 가점 사항 총점, 가점 사항 우선순위 순이고, 이후에는 무작위로 추첨합니다.
SH 역세권 청년주택 청년 유형 가점 사항은 아래와 같으니 참고하시기를 바랍니다.
가점 | 내용 |
1점 | 공통 - 장애인 가구 |
2점 | 공통 - 장애인 본인 공통 - 서울특별시 외 시/군 출신 공통 - 신청자의 부모가 무주택자인 경우 |
3점 | 1순위 - 생계급여 및 의료급여 수급자 1순위 - 보호 대상 한부모가족 2, 3순위 - 소득 기준 50% 이하 |
SH 역세권 청년주택 신혼부부 유형에 대한 가점 사항도 함께 알려드리겠습니다.
가점 | 내용 |
1점 | 자녀 수 1인 |
2점 | 자녀 수 2인 주거급여 및 교육 급여 수급자 차상위계층 서울시 거주자 장애인 |
3점 | 자녀 수 3인 생계급여 및 의료급여 수급자 보호 대상 한부모가족 |
배우자가 지적, 중증 장애인이라면 배우자도 인정되어 2점의 가점을 받을 수 있으니 참고하시기를 바랍니다.
SH 역세권 청년주택 신청 기간
마지막으로 중요한 SH 역세권 청년주택 신청 기간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접수 기간은 2023년 4월 12일 수요일 오전 10시부터 4월 14일 금요일 오후 17시까지입니다.
해당 신청 기간에 SH 홈페이지 또는 앱에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
sh서울주택도시공사
천만시민과 함께 주거안정과 주거복지에 기여하는 서울주택도시공사
www.i-sh.co.kr
이후 서류 심사 대상자 발표는 4월 24일 월요일 오후 16시 이후에 합니다.
그리고 SH 역세권 청년주택 당첨자 발표일은 2023년 8월 9일 수요일이니 참고하시기를 바랍니다.
실제 SH 역세권 청년주택 입주는 2023년 9월부터이니 입주 일정도 함께 참고하시기를 바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