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말정산을 알아야 하는 이유?
근로자라면 매년 하는 연말정산이지만 정확히 연말정산이 무엇인지, 어떤 과정을 통해서 징수/환급하는지 어려워하시는 분들이 있습니다. 근로자라면 연말정산은 계속해야 할 텐데요, 지피지기면 백전백승입니다.
환급을 많이 받으려면, 연말정산이 무엇인지 개념에 대해서 알고 이해해야 합니다. 따라서, 쉽게 연말정산이 무엇인지 개념에 대해서 알아보고 차근히 공제 항목이 무엇인지, 그리고 결론적으로 어떻게 해야 공제를 많이 받을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이렇게 되면 결론적으로, 실제로 더 많은 환급액을 받을 수 있게 됩니다.
연말정산이란?
연말정산은 연말에 급여소득에서 원천징수 한 세액의 과부족을 정리하고 정산하는 프로세스를 의미합니다.
쉽게 설명하겠습니다.
근로자는 매달 급여를 받습니다. 이때, 국세청에서 미리 지정한 일정한 기준표인 (간이세액표)에 따라서 근로자 구간별 세금을 미리 떼고 (원천징수) 급여를 받습니다.
간이세액표, 원천징수란 단어가 처음엔 어렵게 느껴지실 수 있지만, 쉽게 말해서 근로자가 1년 동안 낸 세금에 대해서 연말에 한 번 검토해서 다음 해에 근로소득세를 확정 짓는 일입니다.
처음부터 제대로 세금을 맞춰서 내지 왜 나중에 검토해서 세금을 돌려주거나 더 징수하는 것일까요?
위에서 언급한 간이세액표는 쉽게 말해 세금을 미리 떼기 위해 편의 목적으로 만든 기준표입니다. 이 기준표는 근로자의 총 급여액과 근로자의 부양가족 수를 바탕으로 합니다.
기준이 총 급여액과 부양가족 수라서, 총 급여액이 많을수록 세금을 더 많이 떼며, 부양가족 수가 많을수록 세금을 덜 뗍니다.
이렇게 근로자의 총 급여액과 부양가족 수만 보고 판단한 세금에 대해서, 나중에 다시 한번 검토를 거쳐서 공제받을 금액을 제거하고 다시 한번 세금을 확정하는 것이 바로 연말정산입니다.
즉, 연말정산이란, 1년 동안 근로자가 간이세액표에 따라 원천징수로 낸 세금을 연말에 정산해서 더 많이 세금을 낸 경우 돌려주고, 모자란 경우 더 세금을 징수하는 일련의 과정입니다.
연말정산이 위와 같은 프로세스로 이뤄지기에 실제로 13월의 보너스 또는 13월의 월급이라고 비유하기도 합니다. 여기서 핵심은 환급받기 위해서 꼭 알아야 할 것이 있습니다.
환급을 받아 13월의 보너스가 되기 위해서는 공제를 잘 알아두고, 공제받아야 합니다. 따라서, 연말정산의 개념에 대해서 쉽게 이해했다면, 소득공제와 세액공제가 중요한 포인트입니다.
마지막으로 연말정산은 언제 하고, 언제 환급/징수가 결정되는 것인지 알아보겠습니다.
연말정산은 보통 매년 1월과 2월 정도에 실시하고, 3월 급여에 연말정산 검토 결과가 반영되어 환급하거나 추가 징수하게 됩니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국세청 홈택스에서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니 참고하세요.
소득공제와 세액공제에 대해서도 곧 쉽게 설명해드리겠습니다.
댓글